Board Lab "Library PCB" 재능기부 프로젝트 "보드프리"

HELP ISP,JTAG | Digital | Analog | Arduino Universal | Project | Tools | F&F | Edu | Custom | Site (Since 2010)

 

Arduino (아두이노)가 뭐지?

 

인터랙티브에 관심이 있거나 전자 분야를 모르는 초급자나 예술가도 컴퓨터만 다룰줄 알면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현 시킬 수 있습니다.

오픈 하드웨어 프로젝트 "아두이노"에 대한 공감대가 필요 하시면 여기를 클릭 하시고 제작에 문제가 있거나 동작을 하지 않으면 여기를 클릭 하세요.

 

 

현재 추가로 배포를 준비하고 있는 아두이노 관련 보드 리스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보드의 사진이 없는 것은 현재 배포중이 아니고 준비중입니다.)

USB/Serial Light Adapter (아두이노 사이트의 원본 그대로...),  

쉴드보드 (mp3, midi, 웹서버, 센서, 디스플레이 등)

독립된 제어기로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제어기

WiFi 로 연결되는 IOT 용도의 모니터링 및 제어 보드

해상도 높은 정밀한 아날로그 신호 측정이 가능한 아두이노 보드

전력제어용 아두이노 보드

무료로 배포되었으면 하고 생각하고 계신 보드가 있다면... 새로운 보드의 제작을 건의 하실수 있습니다.

 

 

 

  

 

품명 : BL-393 (Arduino DUE)

가격 : 무료 입니다.

 

아두이노 사이트에서 배포하는 파일을 받아소 레퍼런스 보드의 원본 그대로 PCB를 제작한 것입니다.

아두이노를 베이스로 하여 높은 성능을 요구하는 제품을 만들때 ARM 에 기반한 DUE를 사용하면, 높은 성능의 제품을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보드 제작 후 별도의 부드로더를 필요로하지 않으며, 자세한 내용이나 부품리스트 등등은 아두이노 사이트의 정보를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품명 : BL-388

가격 : 무료 입니다.


위즈넷의 W5100을 사용하는 이더넷 모듈이며, 아두이노에 쉴드로 올려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아두이노 스케치에서 이더넷 예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용방법은 해당 칩셋의 데이터시트를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품명 : BL-389
가격 : 무료 입니다.


위즈넷의 W5100을 사용하는 이더넷 모듈이며, 아두이노에 쉴드로 올려서 사용하는 방식이 아니고, 아두이노의 다양한 모델과 연결할 수 있도록 케이블 방식입니다.

물론 아두이노가 아닌 일반적인 MCU 보드와 연결해서 사용하셔도 되는, 사용하기 쉬운 SPI 방식의 이더넷모듈입니다.

자세한 사용방법은 해당 칩셋의 데이터시트를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품명 : BL-303
가격 : 무료 입니다.


아두이노를 사용할 때 한두 개의 IO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때 사용하면 매우 효율적인, 8핀 타입의 칩으로 직접 USB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부트로더를 올릴때에는 ISP를 J3에 연결하여 부트로더를 올리면 되고, USB를 사용하여 아두이노IDE와 연결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R1과 R2를 부착하지 않습니다.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다면 Arduino Gemma를 검색해 보시기 바랍니다.

 

 

 

품명 : BL-305
가격 : 무료 입니다.


아두이노를 사용할 때 32pin MCU를 사용하는 시리즈에서는 핀이 부족하고, 100pin을 사용하는 MCU 는 너무 과하게 남아서 불편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때 사용할 수 있는 아두이노 보드이고, 64pin 종류의 MCU를 사용할 수 있는데, ATmega64, ATmega128 과 같은 MCU를 아두이노 베이스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기 전에  "Arduino Mightycore"를 검색해 보시고 활용 하시면 됨니다.

주의사항... 리셋단자의 C2 콘덴서는 아두이노 보드로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조립하지 않아야 하고, AVR 보드로 활용할 때에만 옵션으로 0.1uF을 장착 합니다.

AVR 보드로 사용할 때에는 1열의 ISP 콘넥터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다운로딩 합니다.

 

BL-305를 아두이노 베이스로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BL-331과 같은 ASL (Arduino Serial Link) 장치를 먼저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품명 : BL-304
가격 : 무료 입니다.


아두이노를 사용할 때 32pin MCU를 사용하는 시리즈에서는 핀이 부족하고, 100pin을 사용하는 MCU 는 너무 과하게 남아서 불편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때 사용할 수 있는 아두이노 보드이고, 44pin 종류의 MCU를 사용할 수 있는데 ATmega8535,  ATmega16 등이 있습니다.

 

사용하기 전에  "Arduino Mightycore"를 검색해 보시고 활용 하시면 됨니다.

주의사항... 리셋단자의 C2 콘덴서는 아두이노 보드로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조립하지 않아야 하고, AVR 보드로 활용할 때에만 옵션으로 0.1uF을 장착 합니다.

AVR 보드로 사용할 때에는 1열의 ISP 콘넥터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다운로딩 합니다.

 

BL-305를 아두이노 베이스로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BL-331과 같은 ASL (Arduino Serial Link) 장치를 먼저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품명 : BL-390
가격 : 무료 입니다.

보드의 전체 크기가 18 X 18 mm 사이즈 이며, 헤더핀의 핀 피치는 1.27mm 입니다.
BL-391과 BL-392에 비하여 칩의 패키지가 QFP 타입이라 납땜하기 편합니다.

L1은 AVCC 단자의 필터용으로 사용되는데 코일이 없을 경우에는 10~47ohm 정도의 저항을 사용해도 됨니다. (없으면 0ohm 또는 점퍼선으로 연결 합니다)

아두이노 보드와 호환되는 소형 보드이고, 핀맵이 아두이노에서 사용하는 핀과 같은데 ASL을 지원하기 때문에 USB 주변회로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크기가 작고 저렴하게 아두이노 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보드로서 ATmega8, ATmega168, ATmega328을 사용하는 아두이노와 모두 호환됨니다.

BL-39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BL-331과 같은 ASL (Arduino Serial Link) 장치를 먼저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보드프리의 ASL(BL-331)을 사용하실 때는 핀 변환 지그인 BL-020과 같이 사용하시면 됩니다.

 

AVR 보드로 사용할 때에는 1열의 ISP 콘넥터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다운로딩 합니다. 보드프리의 ISP를 이용할 경우 BL-024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품명 : BL-391
가격 : 무료 입니다.
(히터건, 열풍기 등 으로 납땜할 수 없는 분들은 조립 하실 수 없습니다.)

보드의 전체 크기가 18 X 18 mm 사이즈 이며, 헤더핀의 핀 피치는 1.27mm 입니다.
BL-390과 BL-392에 비하여 부품이 전부 TOP면에 있고 커넥터( MOLEX - 52021 )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다운로딩 합니다.

L1은 AVCC 단자의 필터용으로 사용되는데 코일이 없을 경우에는 10~47ohm 정도의 저항을 사용해도 됨니다. (없으면 0ohm 또는 점퍼선으로 연결 합니다.)

아두이노 보드와 호환되는 소형 보드이고, 핀맵이 아두이노에서 사용하는 핀과 같은데 ASL을 지원하기 때문에 USB 주변회로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크기가 작고 저렴하게 아두이노 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보드로서 ATmega168, ATmega328을 사용하는 아두이노와 호환됨니다.

BL-39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BL-331과 같은 ASL (Arduino Serial Link) 장치를 먼저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보드프리의 ASL(BL-331)을 사용하실 때는 핀 변환 지그인 BL-020과 같이 사용하시면 됩니다.

 

AVR 보드로 사용할 때에는 1열의 ISP 콘넥터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다운로딩 합니다. 보드프리의 ISP를 이용할 경우 BL-024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품명 : BL-392
가격 : 무료 입니다.
(히터건, 열풍기 등 으로 납땜할 수 없는 분들은 조립 하실 수 없습니다.)

국내에서 가장 작은 아두이노 보드 입니다. 보드의 전체 크기가 12 x 12 mm 사이즈 이며, 헤더핀의 핀 피치는 1.27mm 입니다.
BL-390과 BL-391에 비하여 크기가 작습니다. 보드를 만들수 있는 최소 크기로 제작 되었으며, CPU를 제외한 모든 부품은 1005 Size 를 사용합니다.

L1은 AVCC 단자의 필터용으로 사용되는데 코일이 없을 경우에는 10~47ohm 정도의 저항을 사용해도 됨니다. (없으면 0ohm 또는 점퍼선으로 연결 합니다.)

아두이노 보드와 호환되는 소형 보드이고, 핀맵이 아두이노에서 사용하는 핀과 같은데 ASL을 지원하기 때문에 USB 주변회로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크기가 작고 저렴하게 아두이노 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보드로서 ATmega168, ATmega328을 사용하는 아두이노와 호환됨니다.

BL-392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BL-331과 같은 ASL (Arduino Serial Link) 장치를 먼저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보드프리의 ASL(BL-331)을 사용하실 때는 핀 변환 지그인 BL-020과 같이 사용하시면 됩니다.

 

AVR 보드로 사용할 때에는 1열의 ISP 콘넥터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다운로딩 합니다. 보드프리의 ISP를 이용할 경우 BL-024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품명 : Leonardo  BL-387

가격 : 무료 입니다.

 

아두이노 사이트에서 배포하는 레퍼런스 회로를 약간 수정하고, 보드는 원본과 동일하게 제작된 클론 보드라고 생각 하시면 되는데 Leonardo와 100% 호환 됨니다.

CPU를 제외한 모든 부품이 DIP 타입으로 되어 있어서 조립하기 편리하고, 초보자에게 추천되는 보드입니다.

 

스케치에서 아날로그 레퍼런스 전압을 내부 기준전압 2.5V를 사용하거나 AVCC 단자를 러퍼런스 전압으로 사용 하도록 설정 한다면 L2를 조립하지 않습니다.

L1은 AVCC 단자의 필터용으로 사용되는데 코일이 없을 경우에는 10~47ohm 정도의 저항을 사용해도 됨니다. (없으면 0ohm 또는 점퍼선으로 연결)

 

 

 

 

품명 : Nano  BL-386

가격 : 무료 입니다.

 

아두이노 사이트에서 배포하는 레퍼런스 회로를 약간 수정하고, 보드는 원본과 동일하게 제작된 클론 보드라고 생각 하시면 되는데 Nano와 100% 호환 됨니다.

테스트 용도로 브레드 보드에 장착하여 실험하거나 또는 자동차나 로봇등 소형보드가 필요한 곳에 사용하기 좋은 아두이노 나노 호환보드 입니다.

 

CPU는 필요에 따라서 ATmega168 또는 ATmega328을 장착하여 사용합니다.

ATmega8을 장착하고 스케치에서 보드설정을 ATmega8 로 선택 하셔도 사용 가능한데 즉, 보드 명칭이나 보드의 모양은 관계가 없다는 뜻 입니다.

   

 

 

  

 

품명 : MEGA2560-ADK   BL-385

가격 : 무료 입니다.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하는 기기에서 USB를 사용하여 외부 입출력(제어)할 때 사용하는 아두이노 Mega2560-ADK 보드로서 Google ADK 와 호환됨니다.

USB host interface를 이용하여 Android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를 외부와 상호 작용하는 기기로 만들 수 있습니다.

 

프로그래밍이나 Arduino 와의 연동방법등은  "Android Open Accessory Development Kit" 사이트를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조립시 SMD 저항을 점퍼로 사용하게 되는데, 아래의 PCB 아이콘을 클릭 하시고, 원본 보드의 조립된 상태를 보시면 쉽게 만드실 수 있습니다.

       

 

 

 

 

품명 : ASL-8    BL-344

가격 : 무료 입니다.

 

아두이노를 브레드 보드에서 내마음데로 가지고 놀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을 제공하는 보드 입니다.

아두이노 보드와 호환되는 소형 보드이고, 핀맵이 아두이노에서 사용하는 핀과 같은데 ASL을 지원하기 때문에 USB 주변회로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크기가 작고

저렴하게 아두이노 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보드로서 ATmega8,  ATmega168, ATmega328을 사용하는 아두이노와 호환됨니다.

 

BL-344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BL-331과 같은 ASL (Arduino Serial Link) 장치를 먼저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주의사항... C1은 아두이노 보드로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조립하지 않아야 하고, AVR 보드로 활용할 때에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옵션으로 0.1uF을 장착 합니다.

AVR 보드로 사용할 때에는 1열의 ISP 콘넥터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다운로딩 합니다.

 

  

 

품명 : ASL-8    BL-342

가격 : 무료 입니다.

 

아두이노 보드와 호환되는 소형 보드이고, 핀맵이 아두이노에서 사용하는 핀과 같은데 ASL을 지원하기 때문에 USB 주변회로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크기가 작고

저렴하게 아두이노 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보드로서 ATmega8,  ATmega168, ATmega328을 사용하는 아두이노와 호환됨니다.

 

BL-342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BL-331과 같은 ASL (Arduino Serial Link) 장치를 먼저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주의사항...  C1은 아두이노 보드로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조립하지 않아야 하고, AVR 보드로 활용할 때에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옵션으로 0.1uF을 장착 합니다.

AVR 보드로 사용할 때에는 1열의 ISP 콘넥터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다운로딩 합니다.

 

 

 

품명 : ASL-2560     BL-341

가격 : 무료 입니다.

 

아두이노 보드와 호환되는 소형 보드이고, 핀맵이 아두이노에서 사용하는 핀과 같은데 ASL을 지원하기 때문에 USB 주변회로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크기가 작고

저렴하게 아두이노 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보드로서 ATmega1280,  ATmega2560을 사용하는 아두이노와 호환됨니다.

 

BL-34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BL-331과 같은 ASL (Arduino Serial Link) 장치를 먼저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주의사항...  C2 는 아두이노 보드로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조립하지 않아야 하고, AVR 보드로 활용할 때에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옵션으로 0.1uF을 장착 합니다.

AVR 보드로 사용할 때에는 1열의 ISP 콘넥터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다운로딩 합니다.

 

         

 

품명 : ASL-8     BL-343

가격 : 무료 입니다.

 

아두이노 보드와 호환되는 소형 보드이고, 핀맵이 아두이노에서 사용하는 핀과 같은데 ASL을 지원하기 때문에 USB 주변회로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크기가 작고

저렴하게 아두이노 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보드로서 ATmega8,  ATmega168, ATmega328을 사용하는 아두이노와 호환됨니다.

 

BL-343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BL-331과 같은 ASL (Arduino Serial Link) 장치를 먼저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주의사항...  C2 는 아두이노 보드로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조립하지 않아야 하고, AVR 보드로 활용할 때에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옵션으로 0.1uF을 장착 합니다.

AVR 보드로 사용할 때에는 1열의 ISP 콘넥터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다운로딩 합니다.

  

 

  

 

품명 : Diecimia   BL-380

가격 : 무료 입니다.

 

아두이노 사이트에서 배포하는 레퍼런스 보드의 원본 그대로이며, 계속해서 추가로 새로운 보드가 발표 되지만 사용에는 특별히 다른 부분이 없습니다.

새롭게 출시되는 보드는 USB 컨버터의 칩이 바뀌거나 전원관련 회로가 바뀌는 등의 변화이고, 실제로 프로그램을 하고, 주변회로등을 연결할 때에는 예전 보드를

사용해도 전혀 문제가 없고, 사용상 똑같기 때문에 Diecimia 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부품 숫자도 적고, 만들기도 편한 보드프리에서 추천하는 보드입니다.

  

 

  

 

품명 : Duemilanove   BL-381

가격 : 무료 입니다.

 

아두이노 사이트에서 배포하는 레퍼런스 보드의 원본 그대로이며, 계속해서 추가로 새로운 보드가 발표 되지만 사용에는 특별히 다른 부분이 없습니다.

새롭게 출시되는 보드는 USB 컨버터의 칩이 바뀌거나 전원관련 회로가 바뀌는 등의 변화이고, 실제로 프로그램을 하고, 주변회로등을 연결할 때에는 예전 보드를

사용해도 전혀 문제가 없고, 사용상 똑같으며, Diecimia 보드와 비교 한다면 외부전원과 USB 전원의 자동 전환과 리셋 회로 부분이 다릅니다.

    

 

  

 

품명 : UNO   BL-383

가격 : 무료 입니다.

 

아두이노 사이트에서 배포하는 레퍼런스 보드의 원본 그대로이며, 계속해서 추가로 새로운 보드가 발표 되지만 사용에는 특별히 다른 부분이 없습니다.

새롭게 출시되는 보드는 USB 컨버터의 칩이 바뀌거나 전원관련 회로가 바뀌는 등의 변화이고, 실제로 프로그램을 하고, 주변회로등을 연결할 때에는 예전 보드를

사용해도 전혀 문제가 없고, 사용상 똑같은데, Duemilanove 와 다른 부분은 USB 칩대신 ATmega8U2를 사용하는 부분과 리셋 회로가 다릅니다.

ATmega8U2에 사용할 HEX 파일은 아두이노 스케치를 설치하고 설치된 폴더 내에 보시면 hardware\arduino\firmwares 안에 있습니다.

    

  

 

 

품명 : Mega   BL-382

가격 : 무료 입니다.

 

아두이노 사이트에서 배포되는 레퍼런스 그대로 제작한 ATmega1280, ATmega2560을 사용할 수 있는 Mega 원본 보드입니다.

원본상태 그대로의 똑같은 보드이지만 부품중에 C11을 장착하지 않아야 자동리셋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데, 요즘 나오는 Mega2560 보드는 자동 리셋 부분이

변경되었는데, Mega 보드 회로에서 C11 부품을 장착하지 않는 것만으로 Mega2560과 같은 자동 리셋회로가 되기 때문에 C11은 장착하지 않아도 됨니다.

  

 

 

 

 

품명 : Mega 2560   BL-384

가격 : 무료 입니다.

 

아두이노 사이트에서 배포되는 레퍼런스 그대로 제작한 ATmega2560을 사용할 수 있는 Mega2560 원본 보드입니다.

USB 칩은 ATmega8U2를 사용하데 HEX 파일은 아두이노 스케치를 설치하고 설치된 폴더 내에 보시면 hardware\arduino\firmwares 안에 있습니다.

  

 

 

 

              

 

품명 : ASL(Arduino Serial Link)   BL-331

가격 : 무료 입니다.

 

아두이노 보드를 여러개 사용해야 하는 상황인데, 프로그래밍 작업후에 동작할 때에는 컴퓨터와 연결이 필요없다면, 결과적으로는 아두이노 보드에 있는 USB와 관련된

부품이 사용되지 않으면서도 각각의 보드마다 부착되어 있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런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ASL입니다.

 

 

 

 

 

 

 

 

ASL (Arduino Serial Link)  Board 만들기

 

 

아두이노 나노보드와 같이 USB 연결부분을 따로 만들어 놓으면 아두이노 메인보드에서는 실제로 필요한 어플리케이션만 구성하면 됨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Arduino Serial Link 라고 하는 아두이노 연결장치인데, USB 2 UART와 내용적으로 같고, 자동리셋 부분과 컨넥터를 6핀 사용하는 부분이 다릅니다.

USB로 컴퓨터와 연결된 아두이노 보드에서 처럼 ASL을 사용해도 자동리셋이 되고 아두이노와 똑같이 동작 하며, ASL 케이블의 핀맵은 아래의 그림과 같습니다.

 

    

 

 

BL-331 보드를 무료로 받으시고 아래와 같이 제작 하시면, 크기가 작고, 간단하고, 저렴한 아두이노 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됨니다.

아래의 그림에 있는 ASL 제작에 사용된 케이스는 Hammond 사의 1593KBK 입니다.

 

 

 

 

 

 

 

보드프리, 시작품제작, 시작품제작, 시제품제작, 회로분석, 과제수행, 과제용역, 보드프리 회로설계, Artwork, PCB설계,보드프리 , PCB, SMT, 회로개발, 전자제품개발, 무료ISP, 무료PCB, 샘플PCB, Board Free

 

 

Copyright(c) 2017 Board Lab All rights reserved.

Web  management  and  electronics engineering  by YEOEUI